[Spring]
[Spring] DI
Jarvis2304
2025. 2. 13. 18:16
DI(Dependency Injection), 의존관계 주입(의존성 주입)
- 이전 챕터에서 설명한 IoC를 실현하는 방법 중 하나가 DI
- 의존성(Dependency)이란 하나의 객체가 다른 객체 없이 제대로 된 역할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
ex) 서비스 객체가 리포지토리 객체 없이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할 수 없다면, 해당 서비스는 리포지토리에 의존한다고 말함 - 흔히 A 객체가 B 객체 없이 동작이 불가능한 상황을 "A가 B에 의존적이다"라고 표현
- 주입(Injection)을 직역하자면 외부에서 "밀어 넣는 것"을 의미
→ 의존성과 주입을 결합해서 생각해보면 의존성 주입(DI)이란 "어떤 객체가 필요한 객체를 외부에서 밀어 넣는다"라는 의미
▷ 첫번째 그림은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으며, A객체가 필요한 B, C 객체를 직접 생성하는 방법.
▷ 두번째 그림은 스프링을 사용하며, A객체가 필요한 B, C 객체를 Setter()또는 생성자를 통해 의존성을 주입 받는 방법.
- 이 두 가지 방법의 차이는 필요한 객체를 얻기 위해서 주체가 능동적인지 수동적인지에 대한 문제
- 의존성 주입 방식을 사용하려면, 의존성이 필요한 객체에 필요한 객체를 찾아서 "주입"하는 역할을 하는 "Spring DI 컨테이너"라는 존재가 필요함

▷ 그렇다면 왜 "외부에서 객체를 주입하는 방식"을 사용할까?
- "주입을 받는 입장에서는 어떤 객체인지 신경 쓸 필요가 없다", "어떤 객체 의존하든 자신의 역할은 변하지 않는다"와 같은 의미로 볼 수 있음
- 결국 Spring의 의존성 주입(DI)과 DI 컨테이너 기술은 객체 지향의 "다형성"과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 중"OCP", "DIP" 를 가능하게 지원해줌.
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 vs 동적인 객체 인스턴스 의존 관계
- 의존관계는 정적인 클래스 의존 관계와, 실행 시점에 결정되는 동적인 객체(인스턴스) 의존 관계 둘을 분리해서 생각해야 함.
1.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
- 코드상에서 어떤 클래스가 어떤 클래스를 사용하는지 (의존하는지)를 의미
- 컴파일 시점에 결정됨
-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아도 분석할 수 있음

-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보면, OrderServiceImpl은 은 MemberRepository, DiscountPolicy에 의존하는 것을 알 수 있음
- 하지만 이러한 클래스 의존관계만으로 실체 어떤 객체가 OrderServiceImpl에 주입 될지 알 수 없음
2. 동적인 객체 인스턴스 의존 관계
-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에 실제 생성된 객체 인스턴스의 참조가 연결된 의존 관계

→ 의존관계 주입(DI)란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(런타임)에 외부에서 실제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 전달해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실제 의존관계가 연결 되는 것
→ 의존관계 주입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, 클라이언트가 호출하는 대상의 타입 인스턴스를 변경할 수 있음
→ 의존관계 주입을 사용하면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를 변경하지않고, 동적인 인스턴스 의존관계를 쉽게 변경할 수 있음.
IOC 컨테이너, DI 컨테이너
-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면서 객체 간의 의존관계를 연결해 주는 것을
- IoC 컨테이너 또는 DI 컨테이너라 함.
- 의존관계 주입에 초점을 맞추어 최근에는 주로 DI 컨테이너라 함
- 이와 같은 IoC/DI 기능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프레임워크가 Spring(컨테이너)
-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ApplicationContext, @Bean, @Autowired, @Component 등이 모두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 작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