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Javascrip] 변수
▶ 자바스크립트 데이터 타입
- 자바스립트 언어로 다룰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
● 숫자 타입 ex) 42, 3.14
● 문자열 타입 ex) '안녕', "a", "365", "3+4"
● 논리 타입 ex) true, false
● 객체 레퍼런스 타입 - 객체를 가리킴(C언어의 포인터와 유사)
● null - 값이 없음을 표시하는 특수 키워드. Null, NULL과는 다름
※ 자바스크립트에는 문자 타입이 없고 문자열로 표현 ※
▶ 변수
-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
▷ 변수 선언 : 변수 이름을 정하고, 저장 공간 할당
- 변수 재정의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let과 const가 새로 추가됨
● var를 이용하는 방법
ex) var score; // 변수 score 선언
var year, month, day; // year,month, day 의 3개의 변수 선언
var address = "서울시" // address 변수를 선언하고 "서울시"로 초기화
● let을 이용하는 방법
- var는 동일한 변수를 재선언할 수 있지만, let으로는 동일한 변수 재선언 불가능
- let은 변수의 사용범위를 블록 내로 제한
ex) let score; // 변수 score 선언
let year, month, day; // year,month, day 의 3개의 변수 선언
let address = "서울시" // address 변수를 선언하고 "서울시"로 초기화
● const를 이용하는 방법
- 상수를 선언할때 사용
ex) const MAX = 10;
● var 없이 선언
ex) age = 21 // var 없이, 변수 age를 선언하고 21로 초기화(age가 이미 선언된 변수이면, 존재하는 age에 21저장)
※ 자바스크립트에는 변수 타입이 없음 ※
● 변수 타입을 선언하지 않음
● 변수에 저장되는 값에 대한 제약 없음
▶ 지역변수와 전역변수
▶ 블록 변수
- let 키워드로 if, while for 등 블록 내에 선언된 변수
- 블록 내에서만 사용 가능
- 블록이 끝나면 사라지므로 블록 바깥에서는 접근 불가
▶ this로 전역변수 접근
● 지역 변수와 전역 변수의 이름이 같을 때, 전역변수에 접근하고자 할 때 this.전역변수를 이용하여 접근
예제) 지역변수와 전역변수
▶ 자바스크립트의 상수(literal)
- 변수가 데이터 저장 공간의 이름이라면, 리터럴(literal)은 데이터 값 그 자체
- 변하지 않는 값을 가지는 이름
ex) let x = 10; // x는 변수, 10은 리터럴
▷상수 종류
▷ 상수 선언
- const 키워드를 이용하여 초깃값과 함께 선언
- 상수는 재선언 불가
ex) const MAX = 10; // 10의 값을 가지는 상수 MAX 선언, C언어에서 #define MAX 10과 동일
▷ 문자열 상수
- 인중 인용 부호(" ")와 단일 인용 부호 (' ')모두 사용가능
- 문자열 내에 문자열 사용가능
- 문자열 내에 이중인용 부호 문자(")를 사용하고자 하면 \"로 사용한다